전체 글 30

어쩌다가 한국 문학은 그들만의 리그가 되었는가…

왜 우리가 현대소설 혹은 이상문학상, 신춘문예등을 보며 이런생각을 하게 되는걸까…? 단순하다. 왜냐하면 한국문학들은 스토리를 점진적으로 쌓아올리며 진행하기 보다는 단순한 공간에서(혹은 특정된 장소에서) 소설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1910년부터 이어진 한국의 소설들은 주로 공간적인 서사성을 쌓기보다는 인물들간의 대립이 빈번했으며 주인공의 내면심리만을 부각하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이다. 저렇게 우리를 가르치려하고 작가의 사상이 그득하게 들어있는건한국소설만의 고유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유미주의, 모더니즘, 심미주의 등등 한국의 소설은 사상에 잡아먹힌 소설들이 많았다. 소설의 형태를 띈 어떤 선전물일지도 모르는. 작가가 본인을 투영시켜 만드는 소설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상의 날개나 김동인의 광념소나타등) 외국의 ..

카테고리 없음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