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이청준의 소문의벽 ( 검열과 거짓이 판치는 세상에서 작가들이 살아가는 방법은? )

이청준의 소문의 벽을 읽으면서 그속에서 나타나는 상징적인 의미들과 인물간의 심리를 분석해보았는데요. 음 이건 한개인의 생각일뿐 전문적인 문학평론가나 국문학 교수분들께서 써놓은 논문과는 거리가 멀고요..아,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도 있구나 라고 보시면 좋겠습니다.화자(노형)잡지사의 편집가로 일하고 있음, 그러나 평소 잡지일에 회의감을 많이 느끼며 주머니에 사표를 넣고 다님"요즘 작자들이 도대체 무슨 이유로 그처럼 글을 쓰지 않으려고 하는가?" 나의 일은 어렇듯 마감 날짜와의 무의미한 싸움으로 변해버린지 오래다(중략) 나는 또 깊은 허탈감에 젖어들면서 끝내는 그 무의미한 싸움을 그만 끝장 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다가 박준을 만나게 되면서 박준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다. 박준을 통해 왜 작가들이 도..

2024.12.15

<오은영 박사가 전하는 금쪽이들의 진짜 마음속> 을 읽고 / 내아이 교육방법

성장과제를 해내는 과정은 대부분 불편감을 동반하지만 그과정 속에서 아이는 인생을 행복하게 살아갈수 있는 큰 가치들을 배우게 됩니다. 자신의 몸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것을 배우고, 외우에서 오는 통제를 받아들이고, 기준을 따를 때 지금보다 더 행복하고 기쁘다는 것을 배우게 되지요. 부드러운 젖꼭지만 빨다가 딱딱한 숟가락으로 먹어야 한다는 것은 고통이고, 스트레스지만 적응하게 되면 다양한 맛을 접하고 몸의 영양 상태도 좋아지고 먹는 것이 즐거운 행위라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숟가락이라는 외부에서 온 규제를 받아들여 더 행복 해진 것이지요. 각종 성장 과제를 수행하며 조절 능력과 통제를 제대로 배우지 못하면, 아이는 외부에서 오는 규제는 무조건 자신을 억압하고 못살게 구는것으로 오해해, 꼭지켜야하는 규범과 규율..

2024.07.21